-
11/01 네이버 뉴스IT 2022. 11. 1. 23:19
인스타그램 8시간 장애…정부, 원인 분석 나선다
기사내용 요약 메타, 서비스 안정화 의무 '넷플릭스법' 적용대상 과기정통부 "장애 요인 분석 후 개선 여부 권고" [서울=뉴시스]심지혜 기자 = 메타가 운영하는 플랫폼 ‘인스타그램'에서 8시간
n.news.naver.com
인스타그램 8시간 장애…정부, 원인 분석 나선다
메타가 운영하는 플랫폼 ‘인스타그램'에서 8시간 가량의 장애가 발생하면서 정부가 원인 분석에 나설 예정이다. 메타는 일명 ‘넷플릭스법‘ 적용 대상으로 서비스 장애 발생시 정부에 원인 등에 대한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메타는 현재 국내에서 넷플릭스법 적용 대상이다. 넷플릭스법은 주요 부가통신 서비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전기통신사업법 제22조의7 및 동법 시행령 제30조의8를 근거로 한다.
대상사업자는 매해 초 확정되는데 직전년도 3개월간 일평균 이용자 수가 100만 명 이상이면서 국내 발생 트래픽 양이 국내 총 트래픽 소통량의 1% 이상을 기준으로 한다. 올해에는 구글, 넷플릭스, 네이버, 카카오와 함께 메타가 포함됐다.
해당 법에 따라 이들은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다.
[IR] 카카오페이 "애플페이 도입 예의주시…성장 대응 전략 고심"
정은지 이정후 기자 = 카카오페이가 애플페이의 국내 도입에 대해 예의주시하는 동시에 대응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백승준 카카오페이 사업총괄리더는 1일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
n.news.naver.com
카카오페이 "애플페이 도입 예의주시…성장 대응 전략 고심"
애플페이 도입과 관련해 NFC 방식이기 때문에 디바이스 전환 비용이 상당하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에 대해 모 카드 사와 논의중이라고는 하나, 신규 단말기 보급 비용을 가맹점이 일부나 전부 부담해야 하는 점, 대형이나 프렌차이즈는 순차 적용 예상되지만 대부분 가맹점인 롱테일 가맹점까지 해당 규격 방식 적용 어려워 모든 가맹점 적용이라는 범용성 확보 측면을 지속적으로 체크할 것"
"결제방식도 중요하지만 가맹점과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부여할지가 핵심 키워드"
"금융·공공 국한된 마이데이터 전분야 확산, 표준화·법통과 필요"
전 분야 마이데이터 확산 방안을 위해 현재 국회에 1년 가까이 계류돼 있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통과, 마이데이터 표준화 등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 1일 오후 서울 중구
n.news.naver.com
"금융·공공 국한된 마이데이터 전분야 확산, 표준화·법통과 필요"
마이데이터, 즉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이란 본인의 개인정보를 본인과 제3자에게 전송할 것을 요구하는 권리를 의미한다. 개인 데이터의 활용·관리를 정보주체인 개인이 행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데이터를 보유한 기관이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보낼지 말지를 결정하고 개인은 단지 이에 동의하기만 했을 뿐이었다. 마이데이터 도입 후에는 개인이 데이터보유 기관이 제3 기관에 정보를 보낼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를테면 △건강검진 데이터와 △걸음수 및 운동량과 같은 라이프로그 데이터 △배달앱 및 쇼핑 이용내역 등 식습관 데이터를 더해 맞춤형 건광관리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등 형태가 가능해진다.
"마이데이터로 금융업에서 제판분리(금융상품 제조사와 판매사의 분리) 가속화, 디지털 변혁 가속화, 고객 중심 최적화 등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며 "수집된 마이데이터와 은행 및 계열사가 보유한 상품·서비스간 효과적 결합이 중요해질 것"
행정·공공기관에 흩어져 있는 국민 개인의 행정정보를 한 데 모을 수 있도록 한 공공 마이데이터로 95종 행정정보와 연계된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해진 점을 예로 들었다.
728x90'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104 (0) 2024.01.04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0) 2023.04.30